728x90
반응형
언리얼에서 C++ 코드를 한 줄만 수정해도 빌드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.
이는 수정된 줄만 컴파일하는 게 아니고, 다른 모듈들도 모두 다시 빌드하기 때문이다.
UnrealBuildTool 수정
C:\Users\User\AppData\Roaming\Unreal Engine\UnrealBuildTool로 이동한다.
폴더 안의 BuildConfiguration.xml 파일을 수정해줘야 한다.
아무것도 수정하지 않은 상태라면 다음과 같다.
<?xml version="1.0" encoding="utf-8" ?>
<Configuration xmlns="https://www.unrealengine.com/BuildConfiguration">
</Configuration>
이를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.
xml 파일에 추가할 수 있는 옵션과 각 옵션별 상세 설명은 여기를 참고
<?xml version="1.0" encoding="utf-8" ?>
<Configuration xmlns="https://www.unrealengine.com/BuildConfiguration">
<BuildConfiguration>
<bAdaptiveUnityDisablesPCH>false</bAdaptiveUnityDisablesPCH>
</BuildConfiguration>
<ParallelExecutor>
<ProcessorCountMultiplier>4</ProcessorCountMultiplier>
</ParallelExecutor>
</Configuration>
간단하게 수정한 것들에 대해 설명한다.
PCH는 PreCompiledHeader의 약자이다.
언리얼을 빌드하면 모든 모듈들을 빌드하려고 하는데, 이를 false로 설정하면 이미 컴파일한 결과물은 넘어가고 빌드한다.
<최초 빌드는 제외>
ProcessorCountMultiplier는 빌드에 사용할 CPU 코어의 개수이다.
CPU 코어의 개수는 작업관리자의 성능 탭에서 확인할 수 있다.
개수는 적당히 쓰고 싶은 만큼 설정한다.
728x90
반응형
'📘Unreal Engine > 📝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nreal Engine] 공개 폴더 경로 추가 (0) | 2024.09.07 |
---|---|
[Unreal Engine] 디테일 패널에 아무것도 안보일 때 (0) | 2024.06.27 |
[Unreal Engine] 언리얼 프로젝트 GitHub 올리기 (0) | 2024.05.01 |
[Unreal Engine] 언리얼 프로젝트 폴더 (0) | 2024.04.30 |
[Unreal Engine] 프로젝트 시작 시 강제 컴파일 (0) | 2024.03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