📕Programming/📝Git/Github

Git에서 파일 커밋 시 파일 당 최대 100Mb까지 올릴 수 있다.Git Lfs를 사용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다. Git Lfs 설치Git Lfs 사용 시 파일 당 최대 5GB까지 지원한다. Git Lfs를 설치 후 프로젝트 경로로 가서 Git Bash Here를 실행한다.  // 1. Git LFS 설치 및 설치 확인하기$ git lfs install// 2. Git LFS 파일 추적 설정$ git lfs track 파일명 // $ git lfs track a.zip// 3. 변경된 내용 스테이징$ git add .gitattributes$ git add 파일명 // $ git add .gitattributes // $ git add a.zip// 4. 커밋$ git commit -m..
다른 원격 리포지토리의 main이 아닌, 브랜치를 가져와보자.기본적으로 클론(Clone)을 하면, main만 내려받게 된다. main을 클론 한다. |참고|  브랜치 목록을 업데이트하고, 브랜치 목록을 확인하여 해당 브랜치 파일로 변경한다.git bash를 실행한 폴더의 파일이 해당 브랜치 파일목록으로 전부 변경된다.// 1. 브랜치 목록 업데이트$ git remote update// 2. 브랜치 목록 확인$ branch -r// 3. 찾던 브랜치 파일로 변경$ git checkout // $ git checkout 1
주으기
'📕Programming/📝Git/Github' 카테고리의 글 목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