📘Unreal Engine/📝Etc

[Unreal Engine] 언리얼 프로젝트 폴더

주으기 2024. 4. 30. 22:28
728x90
반응형

언리얼 5.3 버전을 기준으로 설명한다.

 

프로젝트 생성 시 다음과 같이 폴더들이 생긴다.

 

1. .vs

  • 숨김 설정이 되어있는 폴더로, 해당 프로젝트를 VS에서 실행할 때 초기화 및 데이터 구조등을 기록하여 추후 파일을 실행할 때 불러오기 과정을 단축하기 위한 용도이다.
  • 지워도 솔루션 파일을 실행하거나 uproject파일로 Generate Visual Studio project를 하면 다시 생성된다.
  • 지워도 된다.

 

2. Binaries

  • 컴파일된 이진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폴더
  • 실행파일(.exe)과 프로젝트를 빌드할 때 생성되는 추가적인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(.dll)나 공유 객체 파일(.so)등이 포함되어 있다.
  • 지워도 uproject파일 실행 시 Missig- 팝업이 생성되고 여기서 yes를 누르면 다시 파일을 생성 가능
  • qdb, exe, dll, 빌드 결과물들이 저장되는 폴더
  • 지워도 된다.

 

3. Config

  • 프로젝트의 언리얼 환경설정 파일을 담고 있는 폴더
  • 프로젝트를 작업하다 보면 입력, 오디오, 그래픽 설정 등 다양한 설정값을 변경하는데, 이러한 내용이 해당 폴더에 저장된다.

 

4. Content

  •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모든 에셋(리소스)들이 포함되는 폴더

 

5. DerivedDataCache

  • 언리얼엔진이 빌드 과정에서 생성된 중간 파일과 캐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폴더
  • 이 폴더에는 전처리된 셰이더 파일, 컴파일된 머티리얼 등이 포함된다.
  • 이전에 처리된 캐시 데이터를 재사용하기에 있으면 빌드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도움 된다.
  • 지워도 된다.

 

6. Intermediate

  • 프로젝트 빌드 시 생성되는 중간 파일이 저장되는 폴더
  • 주로 엔진이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임시 파일들로 지워도 에디터 실행 시 다시 생성된다.
  • 빌드하는 데 필요한 파일들(Batch 파일, 빌드 스크립트, 작업 파일들)
  • 지워도 된다.

 

7. Saved

  • 프로젝트 작업 중 생성되는 임시 파일 및 저장된 데이터 폴더
  • 로그 파일, 임시 캐시 파일, 백업 파일, 스크린샷 등
  • 지워도 무관하지만 위의 데이터들이 삭제된다.

 

8. Source

  • 생성한 C++ Class들이 저장되는 폴더
  • 프로젝트의 모듈 파일과 Build.cs, C# 소스파일 등도 같이 포함된다.

 

9. vsconfig

  • VS에서 사용되는 구성 파일
  • VS의 버전과 프로젝트에 대한 구성을 지정한다.
  • 지워도 된다.

 

10. .sin

  • VS 솔루션 파일
  • 지워도 된다.

 

11. .uproject

  • 언리얼 엔진 프로젝트 이름, 엔진 버전, 사용되는 플러그인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폴더
  • 언리얼 엔진이 프로젝트를 인식하고 로드할 수 있게 한다.

 

 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